DevOps의 핵심 원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개념은 지속적 통합(CI) 및 지속적 배포(CD)입니다.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과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통합(CI)과 지속적 배포(CD)는 DevOps의 핵심 실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출처: Synopsys
지속적 통합 (CI)
지속적 통합은 개발자가 작업한 코드를 자주, 최소 하루에 한 번 중앙 저장소에 통합하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CI의 주요 목표는 코드 변경 사항을 신속하게 병합하고, 자동화된 빌드와 테스트를 통해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입니다.
- 자동화된 빌드: 코드를 커밋할 때마다 자동으로 빌드가 수행되어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자동화된 테스트: 코드 변경 시 자동으로 테스트를 실행하여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합니다.
- 피드백 제공: 빌드와 테스트 결과를 신속하게 개발자에게 피드백하여,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속적 배포 (CD)
지속적 배포는 CI의 연장선으로, 코드 변경 사항이 통합된 후 자동으로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되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이나 수정 사항을 사용자가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자동화된 배포: 검증된 코드를 자동으로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하여, 배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 롤백 기능: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이전 버전으로 롤백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 모니터링 및 피드백: 배포 후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Legacy 방식과 CICD 도입 후의 차이점
DevOps를 도입하여 CI/CD를 구현하기 전과 후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여기에서는 전통적인 레거시 방식과 CICD 도입 후의 주요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코드 통합 및 빌드
- Legacy 방식
- 코드 통합: 개발자들이 별도의 브랜치에서 작업을 하고, 코드 통합은 일정 주기로 수동으로 수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병합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빌드: 수동 빌드 과정이 복잡하고, 빌드 스크립트가 일관되지 않으며, 빌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 CICD 도입 후
- 코드 통합: 코드 변경 사항은 자주, 최소 하루에 한 번 중앙 저장소에 통합됩니다. 이를 통해 병합 충돌을 조기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빌드: 자동화된 빌드를 통해 코드의 일관성이 유지되고, 빌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개발자들은 코드를 커밋할 때마다 자동으로 빌드가 수행되므로, 빌드 프로세스가 일관되고 신뢰성이 높아집니다.
2. 테스트
- Legacy 방식
- 테스트: 테스트는 통합 후 수동으로 수행되며, 전체 테스트 주기는 길고 반복적입니다. 수동 테스트로 인해 테스트 범위가 제한되고, 인적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버그 발견: 버그가 프로덕션 단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수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 CICD 도입 후
- 테스트: 코드 변경 시 자동으로 테스트가 실행되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된 테스트는 일관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여, 테스트 범위를 넓히고 인적 오류를 줄입니다.
- 피드백 루프: 테스트 결과는 즉시 개발자에게 피드백되므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3. 배포
- Legacy 방식
- 배포 주기: 배포는 수동으로 수행되며, 배포 주기는 길고 복잡합니다. 수동 배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릴리스 관리: 새로운 기능이나 수정 사항을 릴리스하기 위해 긴 승인 절차와 많은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 CICD 도입 후
- 배포 주기: 검증된 코드는 자동으로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되어, 배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이를 통해 더 짧은 주기로 더 자주 배포할 수 있습니다.
- 릴리스 관리: 새로운 기능이나 수정 사항이 자동으로 릴리스되며, 이를 통해 빠르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이전 버전으로 롤백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4. 모니터링 및 피드백
- Legacy 방식
- 모니터링: 모니터링이 제한적이며,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거나 예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 피드백: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를 통해 개선하는 주기가 길어집니다.
- CICD 도입 후
- 모니터링: 배포 후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문제를 조기에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된 모니터링 도구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시스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피드백: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을 빠르게 수집하고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
DevOps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IT 운영을 통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높은 품질의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제공하는 방법론입니다. 지속적 통합(CI)과 지속적 배포(CD)는 DevOps의 핵심 실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DevOps의 이러한 주요 개념과 원칙을 이해하고 실천함으로써 조직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유용한 링크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Ops의 핵심 요소(5) -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도구 (0) | 2024.05.29 |
---|---|
DevOps의 핵심 요소(4) - 모니터링 및 로깅 (0) | 2024.05.28 |
DevOps의 핵심 요소(3) - 인프라스트럭처 코드(IaC) (0) | 2024.05.23 |
DevOps의 핵심 요소(1) - 버전 제어 시스템 (0) | 2024.05.22 |
DevOps란? -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영의 완벽한 통합 (0) | 202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