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인프라스트럭처 코드(Infrastructure as Code, IaC)입니다. IaC는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함으로써, 인프라 프로비저닝과 관리를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프라스트럭처 코드 (Infrastructure as Code, IaC)

인프라스트럭처 코드(IaC)는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의 인프라 구성 요소를 코드로 정의하고, 이 코드를 통해 인프라를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하는 방법론입니다. IaC는 인프라 환경의 설정과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여, 수동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고, 인프라의 일관성과 재현 가능성을 보장합니다.

IaC 도구의 종류

IaC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로는 Terraform, Ansible, AWS CloudFormation, Azure Resource Manager 등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Terraform, Ansible, AWS CloudFormation, Azure Resource Manager에 대해 살펴보고, 각 도구의 주요 특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IaC Tools

출처: LinkedIn - Infrastructure as Code tools in 2022, an overview

Terraform

Terraform은 HashiCorp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IaC 도구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Terraform은 선언적 언어를 사용하여 인프라를 정의하고, 여러 클라우드 제공업체와 통합하여 인프라를 프로비저닝합니다.

  • 클라우드 중립성: Terraform은 AWS, Azure, Google Cloud 등 여러 클라우드 플랫폼을 지원하여, 클라우드 중립적으로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상태 관리: Terraform은 인프라 상태를 파일로 관리하여,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필요시 상태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 모듈화: 코드 재사용을 위한 모듈화 기능을 제공하여, 인프라 구성 요소를 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Ansible

Ansible은 Red Hat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자동화 도구로, 구성 관리, 애플리케이션 배포, 태스크 자동화를 코드로 정의할 수 있게 합니다. Ansible은 에이전트가 필요 없는 구조로, SSH를 통해 원격 시스템을 관리합니다.

  • 에이전트리스: 별도의 에이전트 설치 없이 SSH를 통해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플레이북: YAML 형식의 플레이북을 사용하여 자동화 태스크를 정의하고, 쉽게 읽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사용 사례: 서버 프로비저닝, 애플리케이션 배포, 설정 관리 등 다양한 사용 사례에 적용 가능합니다.

AWS CloudFormation

AWS CloudFormation은 AWS에서 제공하는 IaC 도구로, AWS 리소스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CloudFormation은 JSON 또는 YAML 형식의 템플릿을 사용하여 AWS 리소스를 선언적 방식으로 정의합니다.

  • AWS 통합: AWS 서비스와 긴밀하게 통합되어, AWS 환경에서 최적화된 인프라 관리가 가능합니다.
  • 템플릿 재사용: 템플릿을 통해 인프라 구성 요소를 정의하고 재사용할 수 있으며, 템플릿 수정 시 자동으로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 자동 롤백: 인프라 변경 중 오류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롤백하여,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Azure Resource Manager (ARM)

Azure Resource Manager는 Microsoft Azure에서 제공하는 IaC 도구로, Azure 리소스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ARM 템플릿은 JSON 형식으로 작성되며, Azure 리소스를 선언적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 Azure 통합: Azure 서비스와 밀접하게 통합되어, Azure 환경에서 최적화된 인프라 관리가 가능합니다.
  • 템플릿 구성: JSON 형식의 ARM 템플릿을 통해 인프라 리소스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정책 및 역할 기반 접근 제어: Azure Policy와 RBAC(Role-Based Access Control)을 통해 세밀한 접근 제어가 가능합니다.

주요 IaC 도구 비교

특징 Terraform Ansible AWS CloudFormation Azure Resource Manager (ARM)
지원 플랫폼 멀티 클라우드 (AWS, Azure, GCP 등) 멀티 플랫폼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 AWS 전용 Azure 전용
언어 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 (HCL) YAML JSON, YAML JSON
상태 관리 상태 파일로 관리 에이전트리스, 상태 파일 없음 내장 상태 관리 내장 상태 관리
모듈화 모듈을 통한 코드 재사용 역할(Role) 기반 재사용 템플릿을 통한 코드 재사용 템플릿을 통한 코드 재사용
커뮤니티 지원 활발한 오픈 소스 커뮤니티 활발한 오픈 소스 커뮤니티 AWS 공식 지원 및 커뮤니티 Microsoft Azure 공식 지원 및 커뮤니티
롤백 기능 직접 설정 필요 직접 설정 필요 자동 롤백 지원 자동 롤백 지원
초기 설정 비교적 간단 간단 AWS 환경에서 간단 Azure 환경에서 간단

IaC 도입의 장점

IaC를 도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프라의 일관성

  • 도입 전: 수동 설정으로 인해 인프라 환경의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도입 후: 코드로 인프라를 정의하여, 항상 동일한 환경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자동화와 효율성

  • 도입 전: 수동 프로비저닝과 설정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 도입 후: 코드로 인프라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하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3. 변경 관리

  • 도입 전: 인프라 변경 시 수동으로 설정을 수정해야 하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도입 후: 코드로 변경 사항을 관리하여, 변경 내역을 쉽게 추적하고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인프라스트럭처 코드는 DevOps의 핵심 요소로,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함으로써 인프라 프로비저닝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Terraform, Ansible, AWS CloudFormation, Azure Resource Manager 같은 도구를 활용하면, 인프라의 일관성과 재현 가능성을 보장하고, 인프라 관리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팀은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유용한 링크

+ Recent posts